본문 바로가기
코인/코인 뉴스 시황 분석

2025년 4월 18일 코인시장 브리핑

by 나이크 (tuja.news) 2025. 4. 19.

1. 오늘의 핵심 포인트

  1. 비트코인(BTC) 9만 달러 재도전
    ‑ 기관 자금 유입(현물 ETF 순유입 1억 달러)과 장기 보유자 매집 확대
  2. 글로벌 채택 사례 확대
    ‑ 스위스 SPAR 슈퍼마켓,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반 결제 도입
  3. 국내 변동성 확대 요인
    ‑ 위믹스(WEMIX) 재상폐 심사 연기, 밈코인·스테이블코인 디페깅 이슈
  4. 투자심리의 롤러코스터
    ‑ 당일 매수 추천 점수 최고 +0.99 → 최저 ‑1.36
  5. 거시 변수 재부상
    ‑ 美 고용지표 호조 → 긴축 장기화 우려, EU 금리 인하 및 中 유동성 공급 전망

2. 가격·수급 요약

 

구분 시가 고가 저가 종가 24h 변동(%)

비트코인  $84,200  $88,700  $82,100  $84,900  +0.8
이더리움  $4,016  $4,180  $3,970  $4,045  ‑0.3
솔라나  $245  $258  $238  $252  +3.6

 

ETF 프리미엄은 장중 +1.2%까지 확대됐으나, 위믹스 악재 직후 0% 언저리로 급락했다가 마감 무렵 +0.4%로 회복.
도미넌스는 61.4% → 61.1%로 소폭 하락, 자금이 일부 알트(특히 SOL)로 이동.

 

3. 시간대별 흐름·애널리스트 코멘트

시간 매수 점수 주요 이벤트 해석

07:00 ‑1.40 美 고용지표 서프라이즈, 북한 해킹 자금 세탁 의혹 디폴트 리스크보다 긴축 우려 부각 → 위험자산 약세
10:30 ‑0.22 BTC 9만 달러 전망 리포트, 해시레이트 ATH 채굴자 매도 압박에도 기관 매집 기대 → 보합권 회복
13:30 +0.99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회복, 파나마·일본 매수 뉴스 아시아 매수세+제도권 채택 뉴스 → 위험 선호 강화
17:00 ‑1.36 위믹스 재상폐 연기·밈코인 락업 해제 우려 국내 투자심리 급냉, 알트코인 대량 청산 발생
21:00 ‑0.66 옵션 만기 상방 베팅·도지코인 강세 전망 알트 매수세 일부 회복, 스테이블 디페깅이 부담
24:00 +0.14 스위스 슈퍼마켓 BTC 결제 도입, 강달러 진정 실사용 호재로 분위기 중립 전환, 주간 방향성 모색

애널리스트 뷰
단기적으로는 규제·해킹·디페깅 이슈가 불확실성을 키우지만, 기관 매수세와 실사용 확장은 중장기 상승 구조를 유지한다.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레버리지·밈코인 노출을 축소하고 현물 중심의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.

 

4. 섹터별 인사이트

 

▣ 대형주(비트코인·이더리움)

  • ETF 유입세가 재개되며 가격 방어선 강화.
  • 美·亞 가격 괴리(‑1.1% → ‑0.3%) 축소… 아시아 매수세 복귀 신호.

▣ 플랫폼·L1(솔라나·TON 등)

  • 솔라나 주간 +13%. DePIN·DeFi 트래픽 회복이 트리거.
  • 기술적 과열 구간 진입(7일 RSI 78)… 단기 조정 대비 필요.

▣ 스테이블·디파이

  • sUSD 디페깅(0.70달러) 사례는 담보 구조와 유동성 농도 리스크 부각.
  • USDT·USDC 건전성에는 아직 확산 효과 미미, 그러나 변동성 헤지 필요.

▣ 밈·알트

  • 밈코인 급부상은 유동성 과잉 신호. 락업·언락 스케줄 필수 체크.
  • 파이코인·만트라 사례처럼 유통량 급증·사이드체인 해킹이 즉시 가격에 반영.

 

5. 거시·온체인 시그널

 

지표 현재 주간 변화 의미

공포·탐욕 지수 33 ‑7p ‘공포’ 영역 재진입, 과매도 구간 근접
해시레이트  672 EH/s +4.1% 네트워크 보안 ↑, 채굴 수익성 ↓
ETF 순유입 +1억 $ +2.5억 $ 기관 ‘현금‑>BTC’ 전환 지속
장기보유자 순매수 +1.6 % (유통량) +0.3 % ‘Smart Money’ 매집 가속

 

6. 전략 제언

  1. 현물 중심 포트폴리오 유지
    ‑ 고점·저점 모두 추종 매매보다 중장기 평균단가 관리가 유리.
  2. 변동성 헤지
    ‑ 1만 달러폭 OTM 풋옵션 저비용 구매 또는 스테이블 볼트 활용.
  3. 밈·알트 위험 관리
    ‑ 락업 스케줄·스테이블 담보 비율 등 온체인 데이터 확인 후 진입.
  4. 글로벌 채택 모멘텀 추적
    ‑ 라이트닝 네트워크·국가 간 세금 납부 허용 등 실사용 뉴스에 주목.
  5. 규제 캘린더 체크
    ‑ 美 SEC·韓 금융위·EU MiCA 일정 동시 모니터링 → 정책 변곡점 대응.

 

7. 마무리 코멘트

“뉴스는 방향이 아닌 속도를 만든다.”

오늘 시장은 호재와 악재가 교차하며 ‘방향’보다 ‘속도’를 키웠다.
투자자는 속도에 흔들리기보다 방향성과 펀더멘털에 집중해야 한다.

본 리포트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, 실제 투자 판단은 독자 여러분의 책임입니다. 기대 수익과 더불어 원금 손실 가능성도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